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열심히 일한 보답으로 받는 중요한 금전적 보상이죠. 특히 통상임금이 퇴직금 계산의 핵심 기준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계산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이 글에서는 통상임금과 퇴직금의 개념, 계산 공식, 예시,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쉽고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통상임금이란 무엇인가요?
퇴직금을 계산하려면 먼저 통상임금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 해요.
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받는 임금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기본급과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이 포함돼요.
쉽게 말해, 매달 정해진 금액으로 꾸준히 지급되는 금액이 통상임금이에요.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
- 기본급: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월급.
- 정기적 수당: 직책수당, 자격수당, 기술수당 등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금액.
- 고정적 수당: 별도의 조건 없이 지급되는 수당.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 성과급: 회사 실적이나 개인 성과에 따라 지급되는 보너스.
- 일회성 지급금: 명절 상여금, 특별 휴가비 등 특정 시기에만 지급되는 금액.
- 변동 수당: 초과근무 수당, 야간근무 수당 등 근무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금액.
퇴직금을 받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퇴직금을 받으려면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1. 근속 기간
최소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어요.
1년 미만 근무자는 퇴직금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니 이 점을 꼭 확인하세요.
2. 근무 시간
주당 평균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
파트타임 근로자의 경우에도 이 조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답니다.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하는 방법
퇴직금은 아래의 공식을 사용해 계산됩니다.
퇴직금 = (1일 통상임금 × 30) × (총 근속일수 ÷ 365)
이 공식은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하나씩 따라 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
1. 1일 통상임금 계산
1일 통상임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해요:
1일 통상임금 = 월 통상임금 ÷ 월 평균 근무일수
예를 들어, 월 통상임금이 300만 원이고, 월 평균 근무일수가 22일이라면:
- 1일 통상임금 = 300만 원 ÷ 22일 = 약 13만 6,364원
2. 총 근속일수 확인
근속일수는 입사일부터 퇴직일까지의 전체 기간을 말해요.
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에 입사해 2025년 1월 1일에 퇴직한다면:
- 근속일수 = 365일 × 10년 = 3,650일
3. 공식에 대입해 퇴직금 계산
앞에서 구한 값을 공식에 넣으면 퇴직금을 계산할 수 있어요.
예시:
- 1일 통상임금: 약 13만 6,364원
- 근속일수: 3,650일
퇴직금 = (13만 6,364원 × 30) × (3,650 ÷ 365)
퇴직금 = 약 1억 2천 2백만 원
통상임금과 퇴직금 계산 시 주의할 점
퇴직금 계산은 간단해 보이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1. 통상임금 계산의 중요성
통상임금에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해요.
회사마다 통상임금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근로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2. 근속 기간 계산
근속 기간은 육아휴직, 병가, 산재휴직 등으로 근무하지 못한 시간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요.
단, 퇴직 후 재입사한 경우에는 근속 기간이 단절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 계산 오류 방지
퇴직금 계산 시 회사와의 의견이 다를 수 있어요.
이럴 땐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하게 계산하세요.
통상임금 퇴직금 계산 예시
예시 1:
- 월 통상임금: 250만 원
- 월 평균 근로일수: 21일
- 근속 기간: 7년
계산 과정
- 1일 통상임금: 250만 원 ÷ 21일 = 약 11만 9,048원
- 퇴직금: (11만 9,048원 × 30) × (7 × 365 ÷ 365)
- 최종 퇴직금: 약 2,502만 원
통상임금 퇴직금 계산, 알고 나면 어렵지 않아요!
지금까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한 퇴직금 계산 방법을 알아봤어요.
퇴직금은 근로자의 권리이자, 일한 만큼 받는 중요한 보상이니 정확히 계산하고 정당한 금액을 받으셔야 해요.
혹시 퇴직금 계산에 어려움이 있거나 회사와의 의견 차이가 있다면,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로 문의하시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설날 KTX,SRT 기차표 취소 수수료 총정리
2025년 설 명절을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고속열차 표를 예매하며 분주한데요. 코레일(KTX)과 에스알(SRT)은 설날을 포함한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 적용되는 승차권 취소 수수료(환불 위약금) 규정을
third.moongemstone.com
연말정산 자녀 월세공제 조건 혜택 바로가기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자녀 월세공제가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요.특히 자녀가 독립적으로 월세를 내고 거주하고 있다면, 부모님이 연말정산에서 월세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알
third.moongemstone.com
연말정산 미리보기 환급금 조회 총정리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누구나 기대하는 게 바로 환급금이죠. 올해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지, 또는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금은 얼마인지 미리 알 수 있다면 마음의 준비가 되겠죠? 이번 글
third.moongemstone.com
연말정산 자녀공제 나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연말정산 자녀공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돼요. 자녀공제는 근로소득자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항목인데요, 자녀의 나이와 조건을 충족
third.moongemstone.com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2025
안녕하세요! 오늘은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주휴수당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주휴수당은 정해진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권리인데요. 많은 분이 주휴수당 계산법을
third.moongemstone.com